login register Sysop! about ME  
qrcode
    최초 작성일 :    2012년 06월 05일
  최종 수정일 :    2012년 06월 06일
  작성자 :    Taeyo
  편집자 :    Taeyo (김 태영)
  읽음수 :    33,610

강좌 목록으로 돌아가기

필자의 잡담~

이번 강좌에서는 단지, Azure를 90일동안 공짜로 경험해보기 위해 무엇보다 먼저 해야만 하는 무료 평가판 계정을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할 예정입니다. 주변에 잘 안 된다는 분들이 계셔서 화면들을 캡춰한 김에 그냥 강좌로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Azure를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하는 일종의 웹 호스팅 서비스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고, IaaS, PasS, SaaS의 개념까지 완비하여 제대로 Azure를 이해하고 계시는 분들도 있을텐데요. 일단, Azure 가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아쉽지만 이번 강좌에서는 언급하지 않을 예정입니다(이는 다음 강좌에서 다룹니다). 이미 다른 블로그나 커뮤니티에 올라와있는 수많은 컬럼들을 통해서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물론, 태오 사이트에서도 관련 강좌 혹은 번역 컬럼을 준비하고 있습니다(이미 번역 컬럼이 올라왔어요. << 좌측 메뉴에서 Windows Azure 클릭해 보세요 ㅎ).

일단, Windiws Azure를 들어봤거나, 대략 뭔지 눈치는 채고 있다는 분이라 하더라도 Azure가 뭔지 직접 눈으로 한번 들여다 보려면, Azure 계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현재 마이크로소프트는 90일 짜리 무료 평가판 계정을 제공해 주고 있는데요. 향후에는 아마 30일 짜리로 줄어들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뭐 어쨌든 현재는 무료 평가판에 계정을 등록하면 90일 간은 이것 저것 Azure가 무엇인지 직접 만져가면서 테스트를 해볼 수가 있습니다.

사실, 계정을 만드는 부분을 굳이 강좌로 작성할 필요가 있나 하고 생각했었습니다만, 여기 저기 올라온 강좌들이 1-2년 된 강좌들이고 한글(한국)이 지원된 이후의 캡춰된 그림이나 설명은 없어 보이길래 그냥 한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사실 계정 생성하다가 나도 모르게 돈이 빠져 나갈까봐 걱정하시는 분들도 있고, 중간에 에러가 나신다는 분, 화면이 먹통이 되신다는 분, 계정 생성하는 페이지가 한글이 되었다 안되었다 한다는 분들도 있어서 한번 정리해서 올려보는 겁니다. 물론, 모든 케이스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거나 하진 않습니다만, 이 강좌 하나면 누구나 쉽게 Azure에 계정 하나씩 등록하실 수 있을 것이라 믿어보고자 합니다. 얼쑤~

계정 생성 중에 문제가 생긴다면 제 1 규칙 하나만 기억하세요.

"쿠키와 임시 인터넷 파일을 모두 지운다"

기본적으로 브라우저가 깨끗하다면 즉, 쿠키나 임시 인터넷 파일을 모두 지우신 상태라면 완전 100% 한글로 된 Azure 페이지를 통해서 무료 계정을 생성하실 수 있습니다. 진짭니다!!! 하지만, 한글 웹 페이지가 지원되기 전의 강좌를 보신 분들이거나 어디선가 들은 풍문에 ‘[한국어] 웹 페이지에서 계정을 생성하면 Azure 계정이 제대로 생성 안 되요~’ 를 믿으시는 분들은 영문 페이지에서 계정 등록하시는 경우도 있더라고요. 물론, 영문 페이지에서 계정을 등록하셔도 뭐 되긴 합니다만. 한국어와 한국 지역이 이제 공식적으로 지원되는데 굳이 미국으로 등록하실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결제도 피곤(?)하고, 주소도 미국 주소를 입력해야 할 수 있으니까요.

Windows Azure가 2012년 6월 한국 지역을 공식 지원하도록 바뀜에 따라, 현재는 한국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무엇보다도 국가 설정은 반드시 [한국(Korea)]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등록 시에 설정한 국가설정은 정책 상 향후 변경이 불가능하다고 하기 때문입니다(한국 Microsoft의 박중석님 제보입니다). 그러니깐, 가급적 무조건 한글 페이지에서 한국 지역으로 등록하시길 권장해 드립니다.

앞서 말씀 드렸다시피, 브라우저가 깨끗하다면 100% 한글 페이지를 통해서 계정 생성이 됩니다. 다만, Azure 웹 사이트를 한번이라도 영문 페이지로 바꾸어서 접근하신 적이 있다면, 네네~ 바로 그 경우에는 한글 페이지가 나오다가 영문으로 바뀌고 막 그럴 수 있어요. 그럴 때는 어떻게 하라구요? 네. 쿠키와 임시 인터넷 파일을 지우시면 됩니다.

그리고 여담입니다만, 90일짜리 무료 계정을 만들면 말이죠. 여러분은 3달동안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사실 1000원 정도의 결제 수수료 지불이 있을 수 있습니다) 웹 서버를 갖게 되는 겁니다. ASP.NET으로 웹 사이트 만들어서 배포할 수 있는 실제로 운영되는 웹 서버를 말이죠(심지어 원격 데스크탑 접근도 가능합니다). 꼼수를 부린다면, Window Live 계정을 여러 개 만들어서 3달마다 공짜 계정을 새로이 등록하면 계속해서 무료로 웹 서버를 쓸 수 있기도 할 겁니다. (헛? 그것 참 쫄깃하게 솔깃한 이야기인걸~~) 물론, 다소 번거롭고 귀찮기는 하겠지만 말이죠. ㅎㅎ

태오님! 쓸데없는 이야기 시끄럽고요. 얼른 계정 등록하는 방법이나 보여주세요.

넵! 그럼 한번 따라와 보세요.

단, 이하의 등록 단계에서는 각각의 그림마다 부가적인 설명이 꽤나 달려있는 편이니까요. 빠르게 확인하고 싶으신 분들은 그냥 그림만 쭈욱 보시면 됩니다.


  1. 일단 Windwos Azure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www.windowsazure.com/ko-kr/ 로 접근하세요. 그래야만 한글 페이지가 나옵니다. 다만, 한글 페이지(ko-kr)로 접근해도 영문 페이지로 자동으로 바뀌는 분들이 계실 겁니다. 그러면!!

    제 1 규칙! "쿠키"와 "임시 인터넷 파일"을 모두 지우세요.

    브라우저의 인터넷 옵션으로 가셔서 다음 그림처럼 [검색 기록] 쪽의 [삭제]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그리고, 쿠키와 임시 인터넷 파일들을 모두 삭제하세요. 그 다음, 모든 브라우저를 닫았다가 http://www.windowsazure.com/ko-kr/ 로 접근하면 100% 한글 안내 페이지로 90일 공짜 계정을 만들 수 있습니다.

  2. http://www.windowsazure.com/ko-kr/에 접속해서 우측 상단의 [무료 평가판]이라는 버튼을 클릭합니다.

  3. 그러면, 3개월 무료 평가판을 등록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옵니다. 여기서 [무료 평가판]이라는 녹색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4. 그리고 나면, 다음과 같이 Windows Live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라고 할 겁니다. 아직 Live 계정이 없으시면 하나 만드시고요(굳이 Hotmail 계정을 만들지 않아도 되요. 기존에 쓰고 있던 메일 주소로도 Live 계정을 만들 수 있습니다. 심지어 Gmail 주소로도 Live 계정 만들 수 있습니다. 10초면 만들어요. 훗). 멋들어지게 로그인을 해 주는 겁니다.

  5. 그러면, 다음과 같이 90일간 Azure를 사용할 수 있는 무료 평가판 등록 페이지가 나타나게 됩니다. 여기서 당황스러우신 분들이 있을 수 있는데요. 모래시계만 하루 종일 돌고 등록 화면은 죽어도 안 나오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네. 그럴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는 브라우저의 임시 파일들과 쿠키로 인해서 뭔가 지저분해져 있는 상태라서 그렇습니다. 앞서 1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쿠키와 임시 인터넷 파일들을 모두 지운 뒤, 브라우저를 재시작하세요. 그러면 잘 나올 겁니다.

    위의 그림은 한글 페이지의 경우의 모습인데요. 여러분이 90일간 받게 될 혜택이 무엇인지 한번 읽어보시길 바래요. 솔직히 읽어봐도 뭔지 모르실 수 있는데요. 한글 번역이 약간 엉망이라서 그렇습니다. 매월 [750 시간의 작은 계산 시간] 이라니… 의사양반, 이게 무슨 말이요~

    사실 이 말은 [Small(작은) 규모의 컴퓨팅 장비를 750시간 사용할 수 있음]이라는 의미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시 말하자면, 매달 Small(작은) 규모의 서버장비를 750 시간 동안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24시간 X 31일 = 744시간이기에, 750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는 한 달 내내 서버 한대를 24시간 운영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근데, 매달 750시간을 제공받는 것이니깐 90일간 즉, 3달간 내내 서버 한 대를 24시간 가동시킬 수 있다는 의미가 되겠네요.

    그리고, Small 규모의 장비라는 것은 Small (1.6GHz CPU, 1.75GB RAM, 225GB Storage)을 의미합니다. 개인 서버로 쓰기에는 그런 대로 쓸만한 스펙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이러한 규모는 Extra small(아주 작음)부터 Extra Large(아주 큼)까지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그에 따라 가격도 다르지만, 현재 우리는 가격 따윈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요. 90일 무료이니까요(다양한 스펙 및 가격정보는 https://www.windowsazure.com/ko-kr/pricing/calculator/advanced/ 에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하단에 [(한국)Korea]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세요. 등록 시에 설정한 국가설정은 정책 상 향후 변경이 불가능하다고 하기 때문에 꼭! [한국]을 설정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혹, 한국을 선택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하려 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마주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깔끔한 등록을 위해서 앞서 여러 번 강조했듯이 쿠키와 임시 인터넷 파일을 다 지우고, 처음부터 새로운 마음으로 등록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6. 위의 1 단계를 통과하면 바로 결제 화면으로 넘어가시는 분들도 있을 것이지만, Live 계정 만든 다음, 아직 본인 확인을 안 하신 분이라면 다음과 같이 본인 확인 페이지가 나타날 겁니다. 자신의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시고, [텍스트 메시지 보내기] 버튼을 누르면 Azure 팀에서 여러분의 핸드폰으로 인증번호를 문자 메시지로 보내줍니다. 그걸 받으신 다음에 밑의 텍스트박스에 그 인증 번호를 입력하고 [코드 확인]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재미있는 것은 한글 페이지에서 본인 확인 문자 메시지를 보내면 한글로 오고요. 영문 페이지에서 본인 확인 문자 메시지 보내면 영문으로 옵니다.


    한글로는 이렇게 문자 메시지가 올 겁니다.

    [256183 코드를 사용하여 Windows Azure 계정을 확인하십시오]
  7. 본인 확인이 끝나면, 다음 그림과 같이 사용자 동의를 얻는 페이지가 나옵니다. 그냥 동의해 주고 패스!

  8. 그리고 나면, 대망의 결제 페이지입니다.

    Azure가 2012년 6월 한국 지역을 공식 지원하도록 바뀜에 따라, 국내에 맞게 결제 페이지도 바뀌어 있는데요. 한국 결제 페이지의 경우에는 이니시스 결제모듈을 사용하기 때문에 ActiveX 설치가 필요합니다. 그렇기에 현재는 Internet Explorer 에서만 결제가 가능하죠(네. 저도 당황스럽습니다) 아쉬운 마음이 남지만 어쩔 수 없이 설치를 하고, 아래 정보를 기재합니다.

    결제는 신용카드와 휴대폰 중 선택하여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단, 신용카드의 경우는 공인인증서가 필요합니다). 한국 계정으로 등록하시는 것이기에 주소란에는 멋들어지게 한글 주소를 기입하시면 됩니다. 우편번호의 경우는 반드시 - 를 포함한 채로 입력하셔야 합니다. 135-090 과 같이 말이죠. 또한, 전화번호 입력 칸 중 세번째 칸은 내선번호를 입력하는 곳이기에 입력하지 않아도 무관합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익숙한 결제 화면이 나옵니다.

    휴대폰으로 결제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결제 화면이 나옵니다. 이 또한 익숙하긴 하죠. 무료 평가판을 결제하는 것이니 신용카드 보다는 휴대폰 결제가 낫겠죠?

  9. 신용카드이던 핸드폰이던(핸폰 추천) 결제를 마치고 잠시 계정 등록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세요

  10. 모든 과정이 끝나면 원래의 Azure 페이지로 돌아오는데요. 메뉴 중에 [계정] [구독]을 차례로 클릭하시면 현재 90일 짜리 무료 평가판 제품이 등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Small 급 서버와 SQL Azure 데이터베이스를 90일간 무료로 맘껏(사실 제한적인 범위 안에서이지만 개발용으로는 충분한 편입니다) 사용하실 수 있게 되신 겁니다.

이렇게 막상 계정을 만들고 나니, 어떻게 Azure를 사용하는 지 급 궁금해지지는 않나요?

뭐라도 좀 보고 싶어지지 않나요? 원격 데스크탑 연결로 막 들어가 보고 싶지 않나요? 내 계정에 할당된 서버가 실제로 존재하기는 하는 것인지 확인해 보고 싶어지지 않나요? 개발자로서의 시작이자 절반인 헬로우 월드라도 한번 찍어보고 싶다는 불타는 욕구가 생기지는 않나요?

뭔가 좀 더 해보고 싶어지죠? 아주 정상적인 반응입니다.

일단 계정을 만들고 나면 원래 뭔가 해보고 싶어지는 법입니다. 그래서, 이 강좌를 먼저 올린 겁니다. 후훗.

이제 여러분이 하셔야 할 것은 Windows Azure 사이트에 올라와 있는 수 많은 강좌를 보는 것입니다. 영어라서 보기가 힘들다고요? 그래서, 태오 사이트에서 각각의 컬럼들을 최대한 번역하여 올릴 예정에 있으며, 이미 올라오고 있답니다. << 좌측 메뉴에서 Windows Azure를 클릭해 보세요

그리고, 국내에서 가장 빠르고 확실하게 Windows Azure 정보를 알려주는 좋은 블로그도 하나 소개해 드립니다. 아시는 분들은 이미 아시겠지만 한국 마이크로소프트의 박중석 과장님 블로그입니다. 이 곳도 참고하시고요.

http://blogs.msdn.com/b/jspark/

시끄럽고 곧바로 Azure가 뭔지 일단 시작해보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다음 강좌로 뛰어들어보세요. 무조건 따라 해 봐야 하는 매우 훌륭한 한글 강좌입니다.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을 Windwos Azure 웹 사이트에 배포하기

이미 위의 링크를 클릭하셨다면 이 글은 보이지도 않을 겁니다. 파이팅이에요~ 달리세요~


authored by

  pighoop
  2012-06-05(18:29)
아... 신용카드 정보 입력....
  hanbroz
  2012-06-07(10:04)
핸드폰 번호 입력 후 인증번호 입력하고 다음 진행 했는데 동의화면 나오지 않고 계
속 프로그레스 바가 왔다갔다 하네요.. -_-''

IE, 크롬에서 해보고 다른 컴퓨터에서 해 봐도 동일한 현상이.. -_-''

아, 그리고 위 스크린 캡쳐에 핸드폰 번호가 보이던데요. ^^

  taeyo
  2012-06-07(10:40)
캐릭 이미지
@hanbroz
핸드폰 번호는 보여도 괜찮아서 그냥 오픈해 두었습니다.
그리고, 핸드폰 인증 후 현상은 일단 본인 인증은 끝난 상태일 겁니다.
결제 페이지로 넘어가는 와중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보이는데요.
저도 한 계정이 그런 문제를 겪고 있는데 명확한 원인은 아직 못 찾았습니다.
해서, 새로운 계정을 만들고 그 계정으로 다시 등록했습니다.

  itist
  2012-06-07(17:49)
캐릭 이미지
감사합니다~
  cassiaf
  2012-06-11(17:19)
현재 한국으로 국가 설정 시 등록에 문제가 있습니다. (수정 중이며, 곧 고쳐질 것으로 예 상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등록시에 설정한 국가설정은 정책 상 향후 변경이 불가능하다 고 합니다. 따라서 가능하시면 조금 기다리셨다가 한국으로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
다. - 박중석드림

  taeyo
  2012-06-11(17:48)
캐릭 이미지
/cassiaf 감사합니다. 알려주신 정보를 본문에 반영했습니다.
  noslady
  2012-06-15(12:24)
캐릭 이미지
15일 현재 국가리스트에서 한국이 안나옵니다 영문사이트 포함^^;;
  cassiaf
  2012-06-15(20:53)
현재 윈도우 애저 한국으로 등록 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간단한 Step by Step 입니다.
http://blogs.msdn.com/b/jspark/archive/2012/06/15/windows-azure-90.aspx

  taeyo
  2012-06-16(02:37)
캐릭 이미지
6월 16일 현재 한국 계정으로 올바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cassiaf
감사해요. 중스님.
알려주신 내용을 본문에도 반영했고, 중스님의 블로그 광고도 밑에 추가했습니다.

  bj2211
  2012-11-16(14:57)
캐릭 이미지
애저도 리뷰도 모두 아름답습니다!

 
 
.NET과 Java 동영상 기반의 교육사이트

로딩 중입니다...

서버 프레임워크 지원 : NeoDEEX
based on ASP.NET 3.5
Creative Commons License
{5}
{2} 읽음   :{3} ({4})